본문 바로가기

주식41

Ark Invest 주요 ETF 단기간에 가장성공적인 성과를 거둔 자산운용사 "Ark Invest"의 주요 ETF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여기서 명심해야할것은 ETF마다 테마가 다르지만,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을 이룰만한 기업에 투자하는 기본 정신은 동일하다는 것이다. ARKK (ARK Innovation ETF) Ark Invest의 대표적인 ETF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섹터들의 대표주를 고루고루 담아가는 ETF라 생각하면 된다. 포트폴리오에서 테슬라(TSLA)가 10.85%로 가장 높은 비중 차지하며, 테슬라의 주가상승이 막대한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헬스케어, 인공지능, 자율주행, 3D프린팅, 로봇공학 등 시장 전체의 파괴적 혁신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3년 수익율은 SPY(S&P.. 2021. 3. 19.
Ark Invest와 캐서린 우드 Ark Invest 현존하는 투자 회사 중에서 최근 가장 유명세를 떨치게 된 곳 중 하나가 Ark Invest이다. 2014년 1월에 설립된 자산운용사로 그들의 핵심투자전략은 장기적 관점에서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을 이룰만한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한다. 파괴적 혁신 기업의 조건 1. 상당한 비용하락과 상품(서비스)에 대한 수요급증 2. 섹터와 지역을 넘나드는 상품(서비스) 3. 추가 혁신이 개발될 수 있는 플랫폼 제공 Ark Invest가 출시한 ETF(상장지수펀드)는 단순히 벤치마킹하는 지수를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수시로 종목을 바꾸고 비중을 조절하는 액티브 ETF로 높은 운용보수(0.75%)를 자랑하지만, 2020년 연간 수익율 상위권을 석권(100%수익율.. 2021. 3. 18.
주식투자 대가들의 포트폴리오 세계의 유명 투자가들은 장기간의 걸쳐 엄청난 투자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그들의 포트폴리오는 인터넷상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 공유된다. 이번 글에서는 주식투자 대가들에 대한 소개와 포트폴리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워렌 버핏(Warren Edward Buffett) 포트폴리오 미국의 기업인이자 가치주투자자로 현 버크셔 해서웨이의 최대주주이자 회장이다. 주식투자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자가로 네브래스카 오마하 출신으로 별명은 오마하의 현인(Oracle of Omaha)이다. 2008년 10월 기준 그의 재산은 약 580억 달러로 세계 1위를 달성하였으며, 2020년 741억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장기투자와 복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1965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21.6%의 수익을 거뒀고, .. 2021. 3. 17.
미국 주식 배당주 투자 실전 지난 글에 이어 본격적으로 배당주 투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배당을 많이 주는 주요 기업에 대해 익숙해지는것을 시작으로 배당률, 배당액, 배당락일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주요 배당주 시가총액 100조이상 기업중 배당률이 높은 순위의 기업을 찾아보았다. 코로나 백신을 최초로 개발한 화이자(PFE)를 포함하여 코카콜라(KO), 문구류 및 산업자재료 유명한 3M(MMM)등이 눈에 띈다. 예금 금리가 1%대인 초저금리 시대에 배당률만으로도 3~7% 수익을 낼수 있는점이 미국 배당주의 최대 매력이다. 여기서 주의해야할점은 무턱대고 배당률이 높은 주식을 투자하기보다는 적절한 배당률에 안정적인 기업의 재무구조까지 더블체크하여 투자해야한다는 것이다. 보통 배당금액은 분기별 정액이고, 현재 기.. 2021. 3. 16.
미국 주식의 배당 최근 서학 개미들을 필두로 미국 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높은 배당 수익율과 더불어 기업의 성장에 따른 주가의 상승까지 더하면, 미국 주식 투자자들에게 쏠쏠한 수익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번글에서는 미국 주식의 배당에 대한 소개와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미국 기업은 주주들에게 배당을 지급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얼마나 오랫동안 꾸준히 지급해 왔는가와 배당액을 계속해서 증액해 왔는가가 시장에서 받는 주요 성적표 중 하나이다. 실제로 배당을 꾸준히 지급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더 높은 시장의 평가를 받아오고 있다.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미국 주식의 배당주는 당연히 매우 매력적이다. 1년에 종목별로 배당월을 중복되지 않게 포트폴리오를 짜면 매달.. 2021. 3. 15.
미국 주식 시가총액 순위(2) 지난 글에 이어,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을 간단히 소개해보겠습니다. 미국 주식의 시가총액 버크셔해서웨이(BRK.A) 워렌 버핏의 회사로 유명한 미국의 기업으로 1839년 뉴잉글랜드 지방의 섬유회사로 시작했다. 지금은 그런 것과는 관련이 없고, 재보험업을 영위하면서 워렌 버핏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다. 네브라스카주 오마하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이후 기업 인수를 거듭하면서 기업 지배구조가 꼬이기 시작했는데 IRS에서 이를 보고 탈세 목적이 아니냐고 태클을 걸자, 열받은 버핏은 투명하게 다 까고 보여주겠다며 버크셔 해서웨이를 정점으로 하는 현재 지주회사 구조를 마련하였다. TSMC(TSM) 대만의 반도체 파운드리(제조 기업)이다. 세계에서 최대의 반도체 제조업체로써 다양한 웨이퍼 생산라인(고전압, 혼합신호.. 2021. 3. 14.
미국 주식 시가총액 순위(1) 2021년 3월 11일 국내 이커머스 기업인 쿠팡이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다. 공모가 35달러 대비 40.7% 상승하여 49.25달러로 장을 마감하였으며, 시총이 무려 100조원을 돌파하였다. 100조원은 국내 주식시장 시총 1위인 삼성전자(494조) 바로 다음에 이르는 엄청난 액수이다. 이렇게 어마어마한 미국 시장의 시가총액 순위와 기업별로 간단히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미국 주식 시가총액 애플(AAPL)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본사를 두고 있으며, 1976년 창립되었다. 아이폰, 아이맥, 맥북, 애플 TV, 맥 OS, iOS 등을 제조하고 있으며, 혁신의 아이콘으로 전세계 소비자들이 열광하고 있는 기업이다. 최고경영자는 팀 쿡이며, 2011년 8월 9일 미국 증시에서 장 중 엑손모빌을 .. 2021. 3. 14.
뉴노멀 트렌드와 미국 주식 코라나 펜데믹 이후로 "뉴노멀"이 다시금 이슈가 되고, 개인의 생활 패턴은 물론 기업의 생존 전략이 급격하게 변화 되고 있다. 뉴노멀 트렌드에 대해 자세히 알고, 이에 맞춘 미국 주식 투자와 생존 전략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뉴노멀 이란? '새로운 표준'이라는 뜻으로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나타난 저성장, 저금리 등 새로운 경제 질서를 지칭하는 용어. 전 세계가 코로나19를 겪으며 개인의 생활방식과 업무방식까지 변화시켜 재택근무와 유연근무, 스마트워크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혁신 기업도 이에 맞추어 신규 사업영역을 개발하고 있다. 뉴노멀 트렌드 1. 탈세계화의 가속화 수년간 지속되고 있는 미∙중 무역전쟁 등으로 촉발된 탈세계화 현상이 코로나19로 인해 한층 더 가속화될.. 2021. 3. 13.
미국 주식의 ETF 미국 주식은 통계적으로 개별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것보다 투자회사에서 운영하는 ETF로 더 높은 수익을 거둘수 있다. ETF가 도대체 무엇인지 명확히 알고, ETF에 투자해야하는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ETF란? ETF = Exchange Traded Fund , 상장지수펀드 쉽게 말해, 펀드를 거래소에서 상장하여 주식과 동일하게 매매를 통해 투자가 가능하도록 만든 상품이다. 미국 주식시장의 대표적인 ETF는 아래와 같으며, 수십년동안 시장 평균 주가지수 이상의 수익율을 거두는 ETF가 부지기수이다. 대표적으로는 S&P500지수를 추종하는 SPY와 나스닥 우량주를 추종하는 QQQ를 들수 있다. 미국 주식 초보자 들은 두 ETF를 분산 투자함으로써 쉽게 시장 평균 이상의 수익율을 거둘수 .. 2021. 3. 12.
미국 주식의 섹터 미국 내의 비슷한 산업별 종목을 모아 구성한 섹터로 분류 할수 있는데, 글로벌 산업분류기준(GICS)방식을 통해 11개로 나눌수 있다. 이제 각 섹터별로 간단한 설명과 대표 기업에 대해 알아보자. 1. 에너지(ENERGY) 에너지 섹터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에너지 장비 및 에너지 정제, 석유, 가스, 연료 등의 산업과 관련된 섹터이다. 최근 친환경 에너지가 대두되면서 유가와 함께 주가가 곤두박질치다가 이제야 회복하고 있는 엑손모빌(XOM), 쉐브론(CVX)이 대표적인 기업이다. 2. 산업(INDUSTRIALS) 각종 산업에서 생산되는 제품 등을 생산하는 제조 업체로 구성된 섹터이다. 국방과 항공우주 관련 사업을 하는 세계 최고 방산 기업인 록히드마틴(LMT), 보잉(BA)과 건설기계 생산업체인 캐터필.. 2021. 3. 11.
미국 주식의 세금 미국 주식을 투자하면 발생하는 세금은 크게 2가지이다. 주식을 매매하면서 발생한 수익에 대한 양도소득세와 미국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발생하는 배당에 대한 배당소득세이다. 양도소득세 1년동안(1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발생한 수익과 손실을 합산하여 계산하며, 양도소득세 세율은 22%입니다.(양도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단, 합산 손익의 250만원까지는 비과세가 적용되므로, 수익이 250만원 이하라면 양도세는 내지 않아도 된다. A씨가 2020년 테슬라 주식으로 300만원의 수익이 발생하였을때 양도세를 계산해보면, 11만원이 양도소득세를 납부해야한다. 300만원 - 250만원 = 50만원(과세 대상금액) 50만원 X 22% = 11만원(양도 소득세) 양도소득세는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2021. 3. 10.
미국 주식의 특징 한국 주식과 대비되는 미국 주식만의 여러가지 특징(차이점)이 있다. 대표적으로 7가지를 추려 공유합니다. 1. 주가가 오르면 녹색, 떨어지면 빨간색 미국 주식과 한국 주식은 주가 상승과 하락을 표기하는 색상이 다르다. 단, 국내 증권사는 색상차이에서 나는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미국 주식 등락을 국내 시장과 동일한 색상으로 표기한다. 2. 상하한가와 동시호가가 없다 대부분의 선진 주식시장은 상하한가, 동시호가가 없으며, 시장자체의 정화 기능으로 일시적 가격왜곡을 해결해 가고 있다. 또한, 터무니 없는 동시호가의 가격 왜곡 현상을 합리적이지 않다고 보기에 동시호가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한국 시장도 상하한가 제한폭을 2015년에 15%에서 30%로 확대하고, 거래 시간을 연장하는 모습으로 증시 선진.. 2021. 3. 10.
반응형